LANGUAGE

7 · 4 남북공동성명은 새로운 민족사의 서장(序章)이며, 민족적 양심의 승리이며, 평화통일(平和統一)을 지향하는 첫걸음이다. '제헌절’ 경축사에서 (1972.7.17.)
‘새마을가꾸기 운동’을 나는 최근에 ‘새마을정신’이라고 말하고 있다. ‘새마을정신’이란 뭐냐? 자조(自助)과 협동정신(協同精神)이다. 내가 항시 입이 닳도록 국민들에게 당부하는 이야기지만, 특히 우리 농민들은 잘살아 보겠다는 의욕이 있어야 되겠다. “내 힘으로 잘살아 봐야 되겠다. 내가 더 노력해서 한번 잘살아 보자”하는 자조정신(自助精神), 또 “남한테 의지하거나 의지할 생각을 하지 않고 내 힘을 가지고 해보겠다.”하는 자립정신(自立精神), 또 한 동네에 있어서 온 동네 사람들이 서로 단결하고 협동해 나아가는 협동정신(協同精神), 이러한 정신이 갖추어지게 되면 우리 농촌은 불과 몇 년 이내에 완전히 일어난다. ‘벼베기대회’ 치사에서 (1971.9.29.)
“안 된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영원히 못하는 사람이다. “될 수 있다. 할 수 있다.”는 자신과 의욕이 있는 사람만이 할 수 있다. 연두기자회견에서 (1971.1.11.)
“양반은 얼어 죽어도 겻불을 쬐지 않는다.”는 속담이 있지만, 이러한 체면치레는 우리의 “잘살아 보겠다”는 노력을 가로막는 큰 병통이다. 월간 ‘새농민’의 특별기고에서 (1971.4.15.)
가난한 농촌의 아들로 태어나 동족상잔의 비극적인 시대에 살면서, 나는 자나 깨나 이 땅에서 가난을 몰아내고, 남북의 부모 형제가 얼싸안고 재회(再會)의 기쁨을 누릴 통일조국(統一祖國)의 실현을 희구(希求)해 왔다. 어찌 이것이 나 혼자만의 소망이겠는가? 남녘에 살거나 북쪽에 살거나, 수륙만리(水陸萬里) 이방(異邦)에 살거나, 사랑하는 우리 국민 누구나의 가슴속에 타오르고 있는 민족의 염원이 아니겠는가? 제7대 대통령 취임사에서 (197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