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새마을운동
-
- 새마을운동은 근면•자조•협동 정신을 생활화하는 국민의식 개혁과 사회구조 개선을 지향하는 운동으로서 대통령의 지속적인 관심과 정책적 지원, 새마을지도자들의 헌신적인 봉사가 어우러진 범국민운동이었다. 정부는 1970년 전국 3만 3,267개 마을에 시멘트를 무상으로 지원하고 사업추진 성과가 뚜렷한 1만 6,600개 마을에 시멘트와 철근을 추가로 공급하는 신상필벌(信賞必罰)의 원칙을 내세워 자발적인 협동 노력을 장려하였다. 오늘날 새마을운동은 개발도상국의 국가발전 모델로 인정받아 새마을운동을 배우기 위해 우리나라를 찾아와 교육을 받고, 자국의 실정에 맞게 도입하고 있다.
어록
- 고식적(姑息的)이며, 체념(諦念)에 빠진 일부 농어민들에게 신념과 용기와 희망을 주고, 자조 · 자립(自助 自立)의 정신을 불러일으키는 농어촌의 개척자와 지도자들의 창의와 노력이야말로 농어촌개발의 관건(關鍵)이다.
- 새마을운동이 성공하려면 먼저 그 부락의 지도자 양성이 무엇보다도 선행되어야 하며, 이들 농촌지도자들이 일으키는 새 물결이 아래 위로 파고들 때 이운동은 그만큼 빠른 속도로 파급될 수 있는 것이다.
- 민주사회의 영웅이란 자기 고장의 발전을 위하여, 말 없이 묵묵히 피땀 흘려 일하는 인간상록수(人間常綠樹)들이다.
- ‘새마을가꾸기 운동’을 나는 최근에 ‘새마을정신’이라고 말하고 있다. ‘새마을정신’이란 뭐냐? 자조(自助)과 협동정신(協同精神)이다. 내가 항시 입이 닳도록 국민들에게 당부하는 이야기지만, 특히 우리 농민들은 잘살아 보겠다는 의욕이 있어야 되겠다. “내 힘으로 잘살아 봐야 되겠다. 내가 더 노력해서 한번 잘살아 보자”하는 자조정신(自助精神), 또 “남한테 의지하거나 의지할 생각을 하지 않고 내 힘을 가지고 해보겠다.”하는 자립정신(自立精神), 또 한 동네에 있어서 온 동네 사람들이 서로 단결하고 협동해 나아가는 협동정신(協同精神), 이러한 정신이 갖추어지게 되면 우리 농촌은 불과 몇 년 이내에 완전히 일어난다.